-
연금 수익율에 대한 생각
어제 한국일보 기사에 국민연금의 수익율에 대한 내용을 보면서, 1) 한때 CFA (멤버 연회비를 안내서 자격이 유지가 안될듯) 였던 마음가짐으로, 다른 곳은 어떤가 살펴보고 싶었고, 2) 최근에 알고 지내는 텍사스교원연금 (Texas Teacher Retirement System)에서 들었던 얘기도 생각이 나서 한번 정리해 보았다. 1. 국민연금은 잘하고 있나? – 결론: 잘 못한다. 한국의 국민연금과 미국내 가장 큰 연금인 CalPers […]
-
기업용 데이터의 시대
기업용 데이터 관련 산업은 미국 테크 업계 지형의 절반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영역에 있어서 이해가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한국은 대기업 계열별로 기업용 소프트웨어가 개발/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자체가 형성되지 못한 상황이다. 어쨋든 최근 기업용 데이터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장을 이끄는 동력에 대한 상황인식이 필요하다 (아래 내용은 MongoDB 사업설명에서 발췌) 1. […]
-
빅데이터 13개 트랜드
* 본 내용은 JP Morgan의 2015년 6월 발행한 North America Equity Research에 나온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117명에게 설문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빅데이터의 13개 주요 트랜드를 정리하였습니다. 1. Hadoop: 데이터관리의 중심적 위치로 진입 2. Open Source: R, Hadoop, Python, Spark 등 4개 주요 언어 중심 3. More Predictive: 고객행태, 직원행태, 보안위험 […]
-
새로운 dotcom 시대
최근에 예전 dotcom과 비교하면서 버블논쟁이 지속되다보니…dotcom의 이니셜이 최근의 트랜드를 잘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가 이미 만들었을 수도 있지만, 정리해 보았다. 1) Data of Things (dot) IoT (Internet of Things) 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쓰이는데, 여러 객체들이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최초 인터넷 닷컴 시대인 1999년에 만들어진 조어이다. 첫번째 닷컴시대가 통신자체의 프로토콜이 중요한 ‘인터넷’의 시대였다고 한다면, 두번째 […]
-
Strategy (전략) vs. Product (제품)
예전에 컨설팅 할때 가장 폼나는 일은 전략개발이다. 회사에서는 전략이 제일 중요하다는 입장이고, 회사의 사업계획 역시 탑다운 (top-down)이 당연한 정석이었다. 한국 대기업에서 종종 듣는 것이 “세계 5대 기업 진입”, “OOO 신수종 사업 진입” 등이다. 어떤 순위의 목표를 제시하거나, 오너가 회사의 방향성을 선지자적 입장에서 정해주는 것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테크 기업들에게서 전략을 듣는 경우가 많지 않다. 전략 보다는 […]
-
대기업의 실리콘밸리 벤처 투자
* 최근 동아일보의 글로벌마켓뷰에 실리콘밸리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지면의 특성상 원래 작성한 글을 편집해서 싣고 있어서, 아래 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대기업들이 실리콘밸리에서 벤처투자를 통해 새로운 트랜드를 파악하고 신규산업에 진출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고, 특히 지난 2년 대기업의 벤처투자는 닷컴이래 최대규모로 이루어졌다. 2014년 한해 미국에서 대기업이 약 6조원 ($5.3B)을 벤처회사에 투자하였으며, 2015년 1사분기만해도 2.5조원 […]
-
크라우드펀딩 없는 잡스법 3년
* 한달전부터 동아일보의 글로벌마켓뷰에 실리콘밸리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지면의 특성상 원래 작성한 글을 편집해서 싣고 있어서, 아래 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2012년 3월말 잡스법 (“JOBS Act”)은 치열한 정쟁중이던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의 전례없는 지지로 상하원을 통과하였고, 4월 5일 오바마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을 하면서 승인이되었다. 그리고 한국에는 크라우드펀딩 법안으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잡스법은 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