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C) 숫자가 좋은 스토리를 망칠 수 있다
* (AVC)글은 avc.com에서 한국의 벤처업계에 의미있는 글을 발췌했습니다. avc.com의 저자가 한국 블로그로 번역하는데에는 관심이 있다는 정도의 답변을 예전에 받은 적이 있는데, 추가적인 승인이 없이 사용되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회사의 초기 (seed 또는 Series A) 단계에서는 좋은 스토리만 가지고도 펀딩을 받을 수 있는데, 어떤 시점에 가서는 여러가지 숫자를 가지게 될 것이다: 사용자수, 사용자수 증가율, 매출, 매출 증가율, 비용…
-
핀테크 (Fintech): 서비스와 그 이면
작년부터 한국에서는 핀테크 열풍이다. 미국도 지난 2년간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에 $3B 이상 투자되고 있다. 짐콜린스의 Good to Great 책에서 대표적인 Great은행인 Wells Fargo도 작년에 Startup Accelerator를 만들어서 FinTech 관련 회사들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미국내에서 대표적인 핀테크 회사의 사례를 보면: – 결제 (돈을 “쉽게 쓰기”): 일반 소비자 사용서비스이면서 플랫폼 모두를 가진 PayPal이 대표적이겠다. 그리고 플랫폼 솔루션…
-
뒤늦은 CES 참관기
2006년에 CES를 간후, 거의 9년만에 다시 CES를 찾았다. 실리콘밸리로 돌아와서 CES가 어떠했는지를 나누면, 대부분 반응이 “nothing new new”이다. 아주 새로운 것은 없었다인데, 생각해 보면 CES는 늘 그렇기는 하다. 그래도 개인적으로 느낀 몇가지 트랜드는 다음과 같다. 1) 보는 것이 믿는 것. 내 주변의 모든 것을 보고 싶다: GoPro와 수많은 짝퉁 액션카메라가 선보였다. 그리고 아직은 별 기능이…
-
[단상] 왓츠앱 $19B: 말이 되냐? 말이 되나… 말이 되지!
왓츠앱 (WhatsApp)이 $19B (약 21조원)에 매각되면서, 실리콘밸리는 ‘대박’의 실현에 다시 한번 열광하였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분석의 글을 썼다. 최근 이 동네 컨퍼런스에 가면 항상 나오는 질문이 $19B이 말이 되냐? 실리콘밸리는 다시 버블이냐?는 질문이다. 나름 이름 좀 있다는 분들이 얘기한 내용과 개인적으로 생각한 부분을 섞어서 간략하게 정리해 봤다. 질문: 왓츠앱 정말로 $19B의 가치가 있나? 처음…
-
[단상] 벤처 M&A 활성화 – 서로 다른 생각
벤처 회수시장 논의의 단골 손님이 벤처 M&A 활성화이다. 그리고 근거로 미국 시장을 제시한다. 미국 벤처시장에서는, 벤처회수 (exit)의 90% 정도가 M&A를 통해서 이루어질 정도로, M&A가 정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은 반대로 거의 대부분이 IPO를 통해서 벤처회수가 이루어진다. M&A 활성화는 특히 아래 두 가지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1) “모든” 기업이 대상이다. 2명 밖에 없는 벤처나 500명이 넘는 벤처…
-
[단상] 새마을운동2.0 – 벤처로 잘 살아보세
2013년들어서 한국에서는 예전에는 못들어보았던, 창조경제, 마중물, 성장사다리 등등 많은 용어들이 회자되었다. 정책을 전국민적으로 드라이브 걸때에는 상징적인 용어나 구호라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마도 가장 노골적이면서도 명확한 구호가 ‘새마을운동’의 ‘잘 살아보세’인 듯 하다. 아침/저녁으로 TV와 동사무소 확성기 등에서 울려퍼지던 ‘잘 살아보세~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세~’라는 노래는 30년 넘게 지난 지금도 기억에 뚜렷하다. 30~40년이 지난 지금 정부는 다시…
-
[단상] 진료는 의사에게, 벤처법은 변호사에게
미국은 변호사의 천국이라는 얘기를 많이 한다. 한국에서는 그냥 넘어갈 일도 소송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고, 실제로 앰뷸런스 체이서 (Ambulance Chaser)라고 해서, 각종 민사소송거리를 쫒아 다니는 변호사도 많이 있다. 그리고 미국내에서도 변호사에 대한 부정적인 농담들도 무지하게 많다 (google에서 jokes about lawyers만 검색해도 하루 종일 재미있게 보낼수 있다). 여하간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미국에서 법에 대한 해석과 적용 및 자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