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2! 돈 무지하게 들어가씨오.
지구 공기중에 이산화탄소가 3,200 기가톤 (1 기가톤 = 1톤의 10억배)이 있는데, 이게 공기중 비중의 0.041%라고 한다 (0.041%를 다른말로 하면 410ppm이라고). 문제는 거의 지난 백만년 동안 CO2가 200-300ppm 사이를 왔다갔다 했는데, 1950년 정도에 300ppm 근처를 돌파한 후에 400을 넘어가며 빠른속도로 진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 1년에 공기중에 배출되는 CO2는? 연간 30 기가톤이 넘는다. 이중 중국이 6 기가톤…
-
벤처 회사의 가치?
미국에서도 벤처협회에서 벤처펀드 투자회사의 가치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이라고는 하지만 별거 없다: 1) 펀딩이 최근에 있으면 펀딩 가격, 2) 최근에 없었으면 펀드의 GP (투자자)가 알아서 평가한다는 것이다. 펀드 회계감사때 외부감사인이 가치평가에 대한 실사도 한다. 하지만 위의 원칙을 지켰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지, 자기가 나서서 ‘흠 내가 볼때 이 회사의 가치는 얼마얼마다’라고 하지 않는다. 기업상장을 위한 절차도…
-
비트코인 버블을 넘어서
최근 비트코인 버블이 큰 이슈가 되고 있는데, 얼마전에 보게된 NY Times Magazine 기고가 블록체인의 가능성에 대해 잘 정리한 듯 해서, 그 내용을 다시 의역해서 정리해 보았다. (원문보기) 그리고 간략한 개인적 후기 첨언. ————————————— 원문 의역 요약 ——————————————— 인터넷을 구성하는 두층의 시스템이 있는데, 1) 첫번째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프로토콜로 컴퓨터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주관하는 층이다. 이 층을 InternetOne이라고 한다면,…
-
철지난 CES 2018 유람기
CES가 이미 2주나 지났지만 다시 한번 뒤늦은 관전평을 정리해 보았다. CES 관전의 총평은 “재미는 많고, 의미는 적다” 내지는 “볼거리는 많았고, 건질거리는 별로”이다. 1) Car Electronics Show: 지난 2015년 CES에서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2018년은 ‘자율주행’과 함께 자동차가 CES의 중심이 되었다. 자율주행이 세상에 가져올 파급력은 냉장고와 대화하는 수준과는 비교가 될수 없다. 자율운행은 소프트웨어적인 업그레이드이기 때문에, 오히려 전기차보다 더…
-
IPO 일단 나가자!
비상장회사 (한국식으로는 ‘벤처회사’ – 미국에서 벤처라고 하면 오히려 벤처케피털의 의미에 가깝게 쓰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startup 내지는 private…여하간)가 IPO를 고려할때 시장의 반응이 뜨뜨미지근하면 (내지는 차가우면) 고민스럽다. IPO 나가자니 기존투자자들의 수익율이 안 좋고 (종종 맨마지막에 투자한 투자자는 손해보는 경우도), 안 나가자니 계속 비상장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지난 몇년간은 워낙에 비상장회사에 투자하는 crossover 투자자가 많아서 굳이 IPO를 안…
-
캐나다 퀘백주의 R&D 정책
최근 캐나다 몬트리올에 소재한 Kinova Robotics라는 회사를 투자하면서, 몬트리올에 자주 왔다갔다 하게 되었다. 캐나다는 지난 몇년간 미국 VC의 관심을 많이 받기 시작하면서, 올해는 가장 높은 수준의 벤처 펀딩 실적을 보이고 있다. 몬트리올은 특히 딥러닝/AI의 거장인 벤지오 교수가 자리를 잡고 있어서,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삼성 등이 AI 연구소를 몬트리올에 열기도 했다. 캐나다는 전반적으로 인건비가 실리콘밸리에 비해서…
-
AI 신약개발
AI (Artificial Intelligence)가 자율주행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전세계 자동차 산업의 매출이 약 $2조 달러인데, 제약회사의 매출도 $1조 달러가 넘는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R&D 금액은 대략 $100B (1천억원) 정도인데 반해 제약회사의 총 R&D 금액은 $150B (1천5백억원)이 넘으니, 돈 되는 곳에 AI는 간다. AI Drug Discovery라는 이름으로 AI에 기반한 신약개발회사가 뜨고 있다. 2000년대초 한때 computational biology라는 이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