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rtificial Intelligence)가 자율주행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전세계 자동차 산업의 매출이 약 $2조 달러인데, 제약회사의 매출도 $1조 달러가 넘는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R&D 금액은 대략 $100B (1천억원) 정도인데 반해 제약회사의 총 R&D 금액은 $150B (1천5백억원)이 넘으니, 돈 되는 곳에 AI는 간다.
AI Drug Discovery라는 이름으로 AI에 기반한 신약개발회사가 뜨고 있다. 2000년대초 한때 computational biology라는 이름으로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신약모델링이 한참 뜬 적이 있었는데, 닷컴붐과 비슷하게 깨몽으로 끝나버렸다. 이후로 computational 어쩌구 하는 바이오는 투자자에게 의심어린 눈빛과 함께 외면을 받아왔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 이름도 새로 나오는 법이다. 예전에 LED 만드는 회사가 ‘반도체’ 회사에서 ‘신재생에너지’회사로 변신을 하더니 나중에는 ‘IOT’ 회사로, 시대와 함께 새롭게 조명 받기도 한다. Computational Biology는 어쨌든 AI라는 이름으로 세상에는 없던 새로운 것이 나온 것 처럼 다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도 2000년대와는 시대가 변했다. 변화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DNA 시퀀싱 비용이다. 2000년데 전체 30억개 DNA를 분석하는데 $3B (3조원)이 들었는데, 이제는 $1000 (백만원)이면 내 몸을 컴퓨터로 옮길 수 있게 되었다. (내 몸이 데이터화 되어서 클라우드로 전세계 데이터센터에 퍼져있다고 생각하면 공각기동대가 따로 없다)
AI 알고리즘 보다 더 중요한 것이 데이터인데, 이제 데이터의 가격은 거의 공짜에 가깝게 무한대로 늘어나고 있고, 2000년과 지금 사이에 우리가 알게된 새로운 인체의 신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래서 AI 신약개발은, LED에 통신모듈을 장착한 IOT 보다는, 보다 혁명적인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고 본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