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단상
-
자율주행차 – 운송의 혁신
* 동아일보의 글로벌마켓뷰에 실리콘밸리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지면의 특성상 원래 작성한 글을 편집해서 싣고 있어서, 아래 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 글은 2017년 1월에 기고된 글입니다. 실리콘밸리에서 운전을 하다보면 구글의 자율주행차 프로토타입인 소위 버블카가 많이 보인다. 2인승으로 지붕에 센서가 달린 딱정벌레 같이 생긴 모습인데, 시내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상황에 […]
-
Jet.com & 월마트: 뭔가 해야할 것 같은 다급함
Jet.com은 시작부터 창업자의 아우라와 온라인 코스트코를 표방하는 거대한 비전으로 각광을 받았었다. 이정도의 팀이면 유명한 투자자로부터 $500M 이상을 펀딩을 받는 것도 문제가 없었기도 하다. 후광에 비해서 회사의 실적은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온라인 코스트코라는 자기정체성으로 부과했던 멤버십 형태도 그만두었고, 주위에서도 Jet을 통해 물건을 산다는 사람들 얘기가 점점 줄기도 했다. Jet의 2016년 물품거래가액이 $1B을 돌파할 것이라고 […]
-
Dollar Shave Club
최근에 Dollar Shave Club이 $1B에 Unilever에 매각이 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subscription model이 새로운 스타트업 모델로 등장하면서, 아마도 100개 이상의 회사가 subscription business에 뛰어들었고, 대부분 결과가 좋지 못했다. 아쉽게도 그 중에 하나는 우리가 투자한 회사도 있었지만… 여하간 그나마 birchbox 정도가 그나마 그럭저럭 하는 듯 하고, 거의 유일한 승자는 Dollar Shave Club인 듯 하다. 오늘 CNBC 기사에 […]
-
헬스케어와 테크의 결합
* 동아일보의 글로벌마켓뷰에 실리콘밸리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지면의 특성상 원래 작성한 글을 편집해서 싣고 있어서, 아래 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올해 연두교서에 암 정복을 위한 문샷 (Moonshot) 프로그램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말 아폴로 달착륙으로 우주 개척의 기념비적 사건을 만들었듯이, 암을 완전히 정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발표한 것이다. 작년 뇌암으로 장남을 잃은 바이든 부통령이 […]
-
실리콘밸리 버블논쟁
* 동아일보의 글로벌마켓뷰에 실리콘밸리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지면의 특성상 원래 작성한 글을 편집해서 싣고 있어서, 아래 글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2015년 9월 현재 (작년에 원고를 썼던 것이어서…좀 시간이 지났습니다. ) 소위 ‘유니콘 기업’ 즉, 기업가치가 $1B (10억불)이 넘는 벤처회사가 전세계적으로 130개가 넘었고, 미국에서만 80개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많아졌다. 작년 페이스북이 왓츠앱을 200억불에 인수할때에도 […]
-
Civic Tech: 테크놀로지가 바꿀 수 있는 정부
얼마전에 Draper University에서 진행한 Civic Tech Showcase에 갔었다. Tim Draper 자신도 얼마전까지 캘리포니아를 6개 소형주로 분할하자는 제안을 하고 다녔었는데, 일단 이를 추진하는 것은 그만 두었다고 한다. 사진에 보이는 넥타이에 6개주 분할 계획이 그려져 있다 ㅎㅎ Civic Tech은 별로 관심을 받지 못하는 영역이기는 하다. 특별히 돈 벌기가 쉽지 않은 모델이기도 하고, 일반인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일상의 관심밖에 […]
-
테크기업 버블 경고
최근에 CB Insights에서 테크기업의 버블에 대한 통계적 분석기사를 냈다. 예전에 블로그에 썼던 <유니콘: 진짜가 드러나는 시기>에서 언급한 내용과 비슷한 것인데, 결론적으로 “테크기업에 들어간 자금이 회수된 자금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다. CB Insights 기사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 5년간의 통계를 보면, 매년 테크기업에서 회수되는 금액이 투자된 금액보다 컸는데, 2015년에는 투자금액이 회수금액보다 $16B 이상 높은 모습을 보인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