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icon Valley Story

벤처와 벤처캐피탈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

고맙다 인플레이션! 다시 산업혁명시대

아는 친구가 Russell Napier라는 훌륭한 분의 글을 소개해줬다. 유럽에 사는 거시경제 분석가인데, 향후 투자에 매우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분의 얘기(원문)는 이렇다.

미국을 포함해서 서구의 많은 나라들이 “GDP대비 부채비율”이 너무 높아지고 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부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명목GDP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다. 명목GDP는 “실질GDP + 인플레이션”이어서, 명목GDP를 높이는 또한 쉬운 방법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통해서이다.

그렇다면, “요즘 중앙은행에서 열심히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노력과 서로 상충된 것이 아닌가”라는 점에서, 중앙은행과 정부가 서로 지향점이 다른데, 거시정책 관련해서 파워가 정부로 넘어가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원하는 게 많아서 정부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에너지 위기도 해결해야지, 푸틴도 막아야지, 기상 재난도 막아야지. 특히나 인플레이션은 부를 부자에서 가난한 쪽으로, 노인세대에서 젊은 세대로 이전하는 정치적 효과가 있기도 하다.

낮은 이자율에 높은 인플레이션, 중국 중심 공급망에서 벗어나려는 생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서, 서구 국가에서 국내생산기반 확충 등 대대적인 자본투자가 향후 15-20년 동안 발생할 것이다. 그래서 이 기간동안에는 에너지, 기후 변화, 방위산업, 탈중국 생산 등을 중심으로 딥테크가 이끄는 서구의 재산업혁명 시대가 될 것이다.

Published by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