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NFT로 만드는 시대에 탄소포인트를 NFT로 만들려는 회사도 당연히 다수 등장하고 있다. 보통 탄소포인트는 한번 거래가 되면 퇴장 (retire)해야 하는 방식이어서, NFT로 만들면 퇴장했어야할 탄소포인트가 슬그머니 재거래되는 것을 막을수는 있겠다 싶다. 다만 퇴장한 NFT 자체의 가치는 “0”이 되는 것은 아닌가 싶은데. 아닌가?
어쨌든 탄소포인트는 소위 ‘시장’에서 거래가 된다. 크게 보면 두개의 시장이 있다. 규제시장 (Mandatory Market)과 자율시장 (Voluntary Market)이 있다. 규제시장은 정부에서 연간 배출 한도를 정하고, 한도를 회사별로 분배하고, 회사들끼리 알아서 잘 써서, 모자라고 남는 것은 서로 거래하는 방식이다. 반면, 자율시장은 한도가 없다. 탄소줄이는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탄소포인트를 그냥 사는 거다. 사서 어디에 쓰냐? 지구를 지킨다는 좋은 마음.
정부주도 규제시장은 중국이 제일 크고, 유럽은 통합 시장이 있고, 미국은 아직 없다. 캘리포니아 같이 주별로 몇개 시행하는 주가 있는데, 아직도 미국사람의 절반은 기후변화는 사기라고 생각하니, 연방정부 단위로 시장이 생기가 쉽지 않다.
자율시장은 현재 3천개가 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서, 풍력발전소 개발도 있고, 숲을 보호하는 것도 있고, 아프리카에 조리기구를 바꿔주는 프로젝트도 있다. 다 합치면 2기가톤 규모의 탄소를 줄일수 있다고 한다. 2기가톤이면 러시아 1년 탄소배출 규모라고 하니, 어마어마한 양이다.
그런데 문제는, 1) 정말 주장한대로 탄소 감축이 되었는지 측정하기 곤란하고, 2) 이 프로젝트 하려고, 오히려 다른데에서 탄소배출이 증가할수도 있는데 알수가 없고, 3) 효과라는 것이 프로젝트 때문인지 아닌지 영 애매할수가 있다 (굳이 이 프로젝트 안했어도, 어차피 공공기관에서 하려고 했다던가). 실제로 이런 프로젝트가 효과적이었는지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다고 한다.
그래도 카본포인트 (보통 자율시장의 이름은 Carbon Offset)를 많이들 산다. 가장 많이 사는 회사로는 구글이 있는데, 구글이 자기네가 탄소중립 (carbon neutral)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정말 회사 자체가 탄소중립이 아니라, 카본포인트를 많이 샀다는 얘기이다.
마지막으로, 카본포인트의 가격은 정부의 배출한도, 자율시장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포인트 공급량 등으로 인해 오르락 내리락한다. 카본이나 NFT나 결국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될텐데, 공정가격이 산정되기에는 아직 시장이 너무 불투명해 보인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