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 버블이 큰 이슈가 되고 있는데, 얼마전에 보게된 NY Times Magazine 기고가 블록체인의 가능성에 대해 잘 정리한 듯 해서, 그 내용을 다시 의역해서 정리해 보았다. (원문보기) 그리고 간략한 개인적 후기 첨언.
————————————— 원문 의역 요약 ———————————————
인터넷을 구성하는 두층의 시스템이 있는데,
1) 첫번째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프로토콜로 컴퓨터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주관하는 층이다. 이 층을 InternetOne이라고 한다면, 여기에서는 이메일은 어떤식으로 보내고 (POP, SMTP, IMAP), 인터넷 정보는 어떻게 흘러가는지 (HTTP, TCP/IP)를 관여한다. 이 모든것은 오픈 프로토콜로, 일반인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인터넷이 연결되는지 이해할 필요도 없다.
2) 두번째 시스템은 이 첫번째 층 위에서 돌아가는 웹기반 서비스, 즉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등이다. 이 시스템을 InternetTwo라고 하자. 아무도 이메일이나 GPS를 통제하지 않지만,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페이스북이 통제한다.
오픈되고 탈중심적인 InternetOne이 90년대 중반에 제시된 이후, 현재까지 새로운 오픈 프로토콜이 나오지 않았고, 이 위에서 벌어지는 InternetTwo는 민간기업의 영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InternetOne이 개발될때 가장 간과된 것이 아이덴티티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현실세계에서는 주민등록번호나 여권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공적 권위를 가진 매개가 존재하지만, 온라인세계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다. 온라인세계에서 이 중요한 빈 공간을 차지하게 된 것이 페이스북이고, 페이스북은 20억명 이상의 아이덴티티를 통제하고 있고, 이 회사는 마크 저커버그 개인이 통제하고 있다.
그동안 몇몇 오픈 플랫폼의 시도는 있었지만, 결국 페이스북과 같은 폐쇄형 서비스가 성공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수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단일 플랫폼하에서만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분산시스템에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이다.
수많은 새로운 기술들이 원래 개발 목적과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듯이, 비트코인 역시 최초 목적인 지불/결재 기능은 별로 중요하지 않게 되었고, 보다 범용적인 구조로서 혁신을 보여주었다. 두 가지 측면에서 비트코인은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1) 수 많은 컴퓨터에 분산 가능하고, 특정인이 통제할 수 없고, 안전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 줬고,
2)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설계했다. 즉, 누군가를 고용해서 개발할 필요가 없다.
비트코인이 증명한 것을 바탕으로, 블록체인이 사용될 수 있는 사례를 우버 (Uber)의 사례와 접목해서 생각해보면:
* 우버 서비스가 최초에 사람들을 모으고, 서비스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게되면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고, 결국 우버 차량 수가 증가하고, 우버가 쉽게 잡히니까, 우버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결국 우버 사용자가 더 늘고… 이런 순환이 가능한데, 결국 우버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모두 소유하게 되고, 사용자는 우버에 종속되는 현상이 벌어질 것이다.
* 만약 Transit이라는 블록체인을 만들었다고 치자. Transit은 개인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프로토콜이라고 한다면… Transit에 기반하여서 다양한 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A->B로 이동하려고 하면, Transit이 택시, 버스, 우버, 지하철 등 모든 서비스로 부터 승차 제안을 받고, 사용자는 그중에 가장 빠르고 저렴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 그리고 처음에 Transit을 쓰게 만드는 방법은 Transit 토큰으로 보상을 주는 것이다. 토큰 때문에 앱을 개발할 것이고, 초기 사용자와 개발자에게는 토큰이 많이 제공될 것이고, 투기세력으로 토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많아지고, 결국 Transit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1) 지적인 공동자산, 2) 토큰 투기세력, 3) 개인이 데이터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규제가 모인 공동 프로젝트이다.
블록체인이 극심한 투기자본주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폐쇄형 인터넷 서비스에서, 다시 오픈 인터넷으로 돌아가는 길을 블록체인이 보여주고 있다.
————————————— 개인 의견 추가 ———————————————
원글에도 나와 있는데, 흐름상 뺀 내용중에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서 거래되는 것을 ‘토큰’이라고 부르는 것이 ‘화폐’ 보다 정확할 것이다. 암호화폐 (Cryptocurrency)의 목적은 시스템에 대한 보상이지, 실제 화폐를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의 ICO 버블은 오히려 닷컴 보다 심각할 수 있다. 닷컴때는 최소한 온라인으로 책이라도 샀는데, ICO는 참여자를 제외하고는 사용상의 가치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즉, 토큰은 특정 시스템의 사회적 가치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비트코인은 아직 사회적 적용예를 찾지 못해서, 사회적 가치가 거의 없는 것이 수천조원의 금전적 가치를 만들었기 때문에 버블이라고 할 수 있겠다.
버블이 없어지는 것은 두 가지 방향일 것이다. 1) 비트코인이 특정 시스템에 적용되어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서 현재의 금전적 가치를 만들거나, 2) 금전적 가치가 결국 사회적 가치가 거의 없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