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회사 (한국식으로는 ‘벤처회사’ – 미국에서 벤처라고 하면 오히려 벤처케피털의 의미에 가깝게 쓰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startup 내지는 private…여하간)가 IPO를 고려할때 시장의 반응이 뜨뜨미지근하면 (내지는 차가우면) 고민스럽다. IPO 나가자니 기존투자자들의 수익율이 안 좋고 (종종 맨마지막에 투자한 투자자는 손해보는 경우도), 안 나가자니 계속 비상장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지난 몇년간은 워낙에 비상장회사에 투자하는 crossover 투자자가 많아서 굳이 IPO를 안 해도 자금을 조달하거나 일부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아서, IPO를 뒤로 물리는 경우가 많았다. 회사로서는 1년 정도 후에는 수치가 더 좋아져서 더 좋은 조건에 IPO를 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역할을 한다. 사법고시 내년에는 합격할 것 같은 느낌이다.
최근에 IPO를 한 Stitch Fix나 Roku의 경우는 이 유혹을 물리치고 일단 IPO를 나가서 성공한 케이스다. 두 회사 모두 IPO 나가봐야 오히려 비상장시 보다 valuation이 떨어질 것이라는 혹독한 평가를 받은 회사이다. 하지만 Stitch Fix는 $15에 IPO를 해서, 지금 $24까지 60% 올랐고, Roku는 $14에 IPO를 해서 지금 $43까지 3배 올랐다 (물론 대표적인 short research 기관인 Citron에서 Roku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이지만). 또한 대표적인 IPO 지진아였던 Square는 $9에 IPO를 해서 최근 $40 수준이다. (bitcoin 플랫폼으로서의 기대감이 작용도 했지만)
뭐 이러나 저러나 일단 IPO를 갈수 있다면 가는 것이 좋다. 1) 회사가 잘되고 못되고는 어차피 상장이든 비상장이든 마찬가지이다. 1년후에 좋은 조건으로 IPO 갈 생각이면, 지금 IPO 가고 1년후에 주가 오르면 그만. 2) 유동성이 주는 프리미엄이 있다. 회사가 동일하다면 유동성은 리스크를 낮추기 때문에 기업가치는 오르게 되어 있다. 3) IPO 기회는 언제나 있지 않다. 펀딩은 돈 주는 사람이 있으면 받을때고, IPO는 갈수 있으면 가는 거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