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시장에서 이미 20~30%는 소위 HFT (High Frequency Trading)이라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에 의한 극초단기 투자이다. 하지만 장기투자라고 해도 인덱스 펀드와 같은 것은 대부분 프로그래밍에 따른 투자이고, 최근에는 소위 로보어드바이저인 AI 자산운용으로, 개인들 역시 AI에 의한 자산이 증가하고 있다 (물론 전체 시장으로 놓고 보면, 로보어드바이저는 아직도 거의 무의미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엊그제 AVC 블로그에 “AI가 주주총회에 등장하게 될때 (When The AI Comes To Your Annual Shareholders Meeting)“라는 글이 있었는데 흥미롭다. 향후 주주총회에 AI만 나오면, 이사선임, 감사인선임 등 의결권을 어떻게 행사하고, 이렇게 되면 회사의 관리구조 (governance)는 어떻게 될까 하는 내용이다.
앞으로는 주주총회장에 애널리스트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가 참여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물론 전문 주총꾼들은 계속 오겠지만) 문제는 알고리즘이 워낙 복잡해서, 도대체 주총에서 뭘 물어보고 뭘 의결해야 기업가치가 올라갈지 모를 수도 있겠다. 아니, 어찌보면 굳이 그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도 없고, 그냥 지속적으로 수익극대화를 위한 단기 트레이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어쨌든 1) 날카로운 안목으로 기업을 분석하고, 2) 시장 환경을 고려하여 진입과 회수 타이밍을 잡고, 3) 남들과는 차원이 다른 수익율을 거두는… 이런 전통적인 자산운용은 점차 경쟁력을 잃고 있다. AI는 전통적으로 높은 수익을 거두는 고수익 직종부터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VC도 예외는 아니다. 다음번에 이 것도 한번 얘기해 보겠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