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내용은 JP Morgan의 2015년 6월 발행한 North America Equity Research에 나온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117명에게 설문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빅데이터의 13개 주요 트랜드를 정리하였습니다.
1. Hadoop: 데이터관리의 중심적 위치로 진입
2. Open Source: R, Hadoop, Python, Spark 등 4개 주요 언어 중심
3. More Predictive: 고객행태, 직원행태, 보안위험 등에 대한 예측가능성 증대
4. Visualization: 데이터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파악
5. Integration: 분석과 개발의 연계, 데이터소스와 분석엔진간의 연계/통합
6. Machine Learning: 시맨틱웹 관련 분석 및 효율성 증대 툴로서의 머신러닝
7. Self-Serivce: IT부서의 도움없이 데이터 사용자가 직접 쿼리와 리포트를 생성
8. Cloud: Amazon 및 Salesforce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
9. Real-Time: 실시간 분석 및 리포팅
10. Massive Scale: 데이터량의 급속한 증대로 시스템의 확장성 필요
11. Unstructured: 제품리뷰, 오디오, 비디오 등의 비구조화된 데이터 증대
12. Segmentation: 데이터 및 고객을 특정 분류에 따라 구분
13. Customer Experience: 고객접점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고객 반응 예측
개인견해: 빅데이터가 의미가 있는 것은 1) 과거 데이터에 대한 분석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고, 2) 미래에 대한 예측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분석툴 (Analytics)를 제외한 빅데이터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또한 미래를 예측하는 동안 이미 미래가 온다면 의미가 없다. 즉 실시간 (real-time)에 가까운 분석이 필요하다. 빠른 저장, 빠른 정보 액세스, 빠른 분석, 빠른 의미 파악. 빅데이터 역시 ‘속도’의 프레임이다.
Leave a Reply